장기전세주택 장점은 무주택 서울시민의 주거안정을 위하여 주변 시세의 80% 이하의 전세보증금으로 공급되며 분양전환 되지 않는 공공임대주택입니다.
전세 기간 만료 걱정 없이 최고 20년까지 살 수 있습니다. 연간 최대 5% 이상 임대료를 올릴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어 임대료 상승 걱정도 덜 수 있는 장기전세주택 자격과 단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장기전세주택 자격
입주자모집공고일 현재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성년자인 무주택세대구성원이면서 유형별 소득 및 자산, 자동차 보유 기준 및 기타 관련법에서 정한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신청자격 쉬운 확인
구분 | 대상 |
---|---|
전용면적 50㎡ 미만 | 1) 해당 세대의 월평균소득의 70% 이하인 사람 2) 1)에 따른 공급 후 남은 주택에 대해서는 월평균소득 100% 이하인 사람 |
전용 50㎡ 이상 60㎡ 이하 | 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에 가입하고 일정 기간/회차 이상을 납입한 사람 건설형 장기전세주택의 경우1) 해당 세대의 월평균소득의 70% 이하인 사람 2) 1)에 따른 공급 후 남은 주택에 대해서는 월평균소득 100% 이하인 사람 |
전용 60㎡ 이상 85㎡ 이하 | 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에 가입하고 일정 기간/회차 이상을 납입한 사람 |
전용면적 85㎡ 초과 | 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예금)에 가입하여 2년이 경과한 사람으로서, 지역별·면적별 청약 예치기준금액 이상 인 사람 |
장기전세주택 소득자격
60㎡ 이하 :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 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 70% 이하
공급 후 월평균소득 100% 이하
85㎡ 이하 :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 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 120% 이하
85㎡ 초과 :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 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 150% 이하 입니다
2024년 기준의 임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70% | 100% | 120% | 150% |
---|---|---|---|---|
1인가구 | 2,438,075 | 3,482,964 | 4,179,557 | 5,224,446 |
2인가구 | 3,790,998 | 5,415,712 | 6,498,854 | 8,123,568 |
3인가구 | 5,039,054 | 7,198,649 | 8,638,379 | 10,797,974 |
4인가구 | 5,773,927 | 8,248,467 | 9,898,160 | 12,372,701 |
5인가구 | 6,142,550 | 8,775,071 | 10,530,085 | 13,162,607 |
6인가구 | 6,694,297 | 9,563,282 | 11,475,938 | 14,344,923 |
7인가구 | 7,246,044 | 10,351,493 | 12,421,791 | 15,527,240 |
장기전세주택 자산기준
부동산 및 자동차 기준
부동산 | 자동차 |
---|---|
부동산가액 21,550만원(금융자산 불포함) | 차량가액 3,708만원 이하 |
인터넷 접수 방법
장기전세주택 단점
장기전세주택은 장점이 매우 많은 정책이고, 그 장점에 대한 이야기는 많으니 반대로 단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취지는 말 그대로 전세 거주만을 목적으로 하므로 분양으로 전환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거주 기간이 끝나면 무조건 퇴거해야 하므로 퇴거전에 거주할 곳을 꼭 선정해 두어야 합니다.
또한 임대 기간 만료 전 2년 이내에 소득이 기준을 200% 초과하거나 자산이 300% 초과하는 경우엔 퇴거해야 하므로 해당 기준에 소득이나 자산이 초과하고 있는지를 잘 파악하는 것도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