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 상장을 앞둔 미국 디자인 소프트웨어 기업 피그마(Figma)가 요즘 연일 화제입니다.
국내에서는 포토샵, 일러스트, 김프를 들어본 사람은 많지만 피그마(Figma)라는 툴은 생소할 텐데요, 한국어 버전 제품도 출시하며 한국 시장 공략도 본격화한 피그마(Figma) 다운로드 및 사용법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피그마(Figma) 다운로드 방법은?

피그마(Figma)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앱을 다운로드해야 하지만,
굳이 다운로드하지 않아도 피그마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다운로드형 툴을 많이 사용해 보셨다면, 피그마의 사용 방법은 다소 생소할 수 있습니다.
바로 사용하기

상단에 지금 무료 시작하기를 통해서 회원가입 후 로그인하시면 됩니다.
로그인이 완료되면 메인화면으로 자동 진입하며, 웹에서 툴을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피그마(Figma) 사용방법은?

로그인을 하면 바로 최근 항목이 나타납니다.
상단에 보면 제작이 가능한 디자인 리스트가 나오는데요,
피그마(Figma)의 핵심 기능은 앞 순서에 있는 디자인과 피그잼(FigJam), 슬라이즈(Slides) 입니다.
디자인

상단 디자인 메뉴를 클릭하면 바로 진입합니다.
빈 화면에서 하단과 우측 툴을 사용해서 자유롭게 디자인도 가능하지만,
에셋 > 라이브러리 > 원하는 형태의 디자인 컴포넌트 [선택] > 필요한 에셋 [선택]
인스턴스 삽입
을 통해서 제작하면 훨씬 빠르고 깔끔하게 디자인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에셋만을 활용해서 꽤 그럴싸한 홈페이지 메인 페이지 디자인을 완성하였습니다.
피그잼(FigJam)

피그잼(FigJam)은 브레인스토밍이나 다이어그램, 워크 플로우 등 생산성 향상을 위한 협업 도구입니다.

역시 하단 도구를 통해서 직접 포스트잇처럼 내용을 붙이고 플로우를 이어서 제작하는 것도 좋지만, 기존에 템플릿을 활용하면, 목적에 맞게 빠른 협업 툴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슬라이즈(Slides)
기존에 파워포인트를 사용해 보셨거나, 캔바(Canva)를 활용해 본 경험이 있다면, 이 툴은 매우 수월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프레젠테이션용 슬라이드를 만드는 툴로서 이 제품은 처음부터 템플릿을 바로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창이 나옵니다.
앞선 툴과 같이 선호하는 디자인을 골라서 빠른 작업이 가능합니다.

버즈(Buzz)

디자인 메뉴는 기본적으로 웹디자인이나 UI, UX 디자인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디자인과 툴들이 많습니다.
버즈는 그 밖에 리플릿, 광고 페이지, 소셜 디자인, 전단 등의 디자인을 만드는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사이트(Site)

피그마 사이트(Figma Sites)는 피그마(Figma)에서 디자인한 것을 코드 없이 웹사이트로 변환하고 배포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입니다.
디자이너가 피그마(Figma) 디자인을 웹사이트로 직접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라이브러리와 블록을 드래그하여 올리고 내리는 방식으로 반응형 홈페이지를 뚝딱 제작할 수 있습니다.
메이크(Make)
AI 챗봇 방식으로 다양한 아이디어의 서비스나 앱을 개발할 수 있는 툴입니다.

아직까지 부족한 점이 많지만, 그래도 빠른 시간 내에 사진을 업로드하면 프레임에 넣어서 보여주는 기능을 구현해냈습니다.
피그마(Figma) 누가 사용할까?
피그마(Figma)에서는 다양한 디자인 기능을 제공하지만, 툴을 다루다 보면 근본적으로 어도비 계열 프로그램이나 그래픽 툴과 다른 점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기존에 툴들은 테크닉과 디테일의 구현에 신경을 많이 쓴 프로그램이라면, 피그마는 UI, UX 디자인 효율성과 편의성 그리고 협업의 기능이 강조된 툴입니다.
따라서 웹 사이트 및 반응형 사이트 제작과 수정, 변경 업무가 많은 업종이나 기업.
앱이나 웹앱, 컨트롤러 등의 프로토타입 제작이 많은 아이디어 기업.
세련된 디자인의 프레젠테이션 제작이 필요한 개인이나 기업.
협업 작업을 위한 브레인스토밍을 자주 하는 아이디어 기업이나 업무에 적합한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 AI를 활용한 메이크(Make)의 앱, 반응형 사이트의 완성도는 다소 떨어지지만, 조금 더 다듬는다면, 디자인 제작은 물론이고 요즘 수요가 높은 반응형 웹의 유지 보수 및 앱 제작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